“ESG(배경·사회·지배구조)가 기업의 신용등급을 가르는 결정적 요인이 될 겁니다.”
ESG 채권은 환경 및 금전적 가치를 높이는 특수목적 프로젝트에 요구되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녹색채권, 금전적 채권, 계속가능채권으로 구분된다.
유 본부장은 “국제사회가 각국 대통령과 회사에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부담을 갈수록 크게 지우고 있다”며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어서 ESG 리스크가 기업 신용등급에 미치는 효과가 커질 수밖에 없다”고 이야기했다.
채권시장에서 기업의 신용등급은 회사채 발행 금리, 즉 금융비용을 선택하는 가장 중대한 잣대다. 박 본부장은 “중단기적으로 ESG 수준이 일정 기준에 못 미치면 투자 유치는 물론 비용시장에 대한 접근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했다.
ESG 채권에 대한 사후 검증 필요성도 강조했다. 오늘날 심해지는 ESG 채권 ‘붐이 몇 년 직후 부실을 양산하는 ‘거품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조달 시점 외에 채권 만기 전 중간 단계에서 끊임없이 적격성 검증을 해야만 한다는 뜻이다. 유 본부장은 “대통령에서 ESG 채권의 사후 평가를 권고로 정하고 있어 금리 혜택 등을 받은 이후 조달한 자금을 해당 프로젝트에 3D 프린팅 사용하지 않는 그린워싱(green washing·위장 배경주의)이 생성할 우려가 있다”며 “선진국에서 공시 확장과 사후 검증이 필수사항이 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채권 투자자 보호를 위해 사후 검증을 강제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